본문 바로가기

20대의 돈관리, 노후대비4

[적금도 똑똑하게] 신협,새마을금고 저율과세로 이자 세금 적게 내는 적금 가입 방법 (조합원 되기) [Intro.]20대들은 소중하게 모은 1,000만 원 단위의 목돈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고민이 많습니다. 주식이나 펀드와 같은 위험 자산에 일정 비율 투자하고, 일부는 안전한 예금이나 적금에 묶어두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. 하지만 예금과 적금의 경우 이자 소득세 15.4%가 부과되기 때문에, 이자 수익이 예상보다 적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 (소득세 14%, 지방 소득세 1.4%, 총 15.4%) 그런데, 이자 소득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 바로 저율과세 적금을 활용하는 것인데, 이 경우 이자 소득세율이 1.4%로 대폭 낮아집니다. 이를 통해 안전하게 목돈을 보관하면서도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 저율과세 적금은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가입할 수 있는 금융 상품이지만, 이러한 조건만 맞는.. 2024. 9. 9.
20대 사회초년생이 바라본 저출산, 그리고 20대가 대비해야할 일 [Intro.]24년 2분기 출산율이 발표되었습니다. 좋은 소식은 4,5월만 비교했을 때 출생아 수가 전년대비 반등했다는 사실입니다. 월별 출생아가 증가한 것은 2015년 4분기 이후 8~9년 만이라고 합니다. 하지만 6월 부터 다시 전년대비 감소세로 돌아갔다고 합니다. 이처럼 대한민국의 저출산 문제는 2000년대 이후 심화되고 있으며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  저 역시 20대 후반의 나이이고 이러한 문제에 대해 귀가 닳도록 들어 왔습니다. 일단 저는 현재 기준으로는 결혼할 생각이 없습니다. 저의 기대소득을 바탕으로 미래에 얼마나 돈을 모을 수 있을지 계산을 해보았는데 아무리 긍정적으로 시나리오를 짜도 답이 나오질 않습니다. (투자 수익률 높게 잡고, 예금금리도 3.5~4%로 계산함) 20년.. 2024. 9. 2.
[토막글] 레버리지 비율이 높다고 좋은게 아닌 이유 (고위험 투자의 위험성) [Intro.]오늘도 제 블로그에 방문해주신 미래의 행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20대 청년분들께 감사인사 드립니다. 미래 대비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무래도 저축일 것입니다. 최근 몇년간 유래없는 상승장이 이어지며 이제 막 사회 생활을 시작한 청년들에게 공격적인 투자에 대한 강한 유혹이 있었습니다. 이 가운데 성공한 사람도 꽤 있는 것 같습니다. 실제로 제 지인 중에 코인 레버리지 투자에 성공하여 단숨에 서울 아파트를 산 지인도 있습니다. 참고로 돈이 썩어 넘치는지 저한테 맥북 쓰던거 그냥 주겠다고도 말하더군요.하지만 기초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위험 상품에 투자하는 것은 미래를 망치는 지름길이 될 수 있습니다. 나는 잘 하니까 문제 없다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당장 수학적으로 이를 증명할 수 있.. 2024. 9. 1.
국민연금 고갈과 한국의 시총 (코스피)의 관계, 20대가 준비할 일 [Intro.]안녕하십니까? 산만한 일꾼입니다. 저는 취업하고 몇 년이 지났지만 입사 초기에는 재테크, 노후대비에 큰 관심은 없었기에 월급이외의 수입처에 관심을 가진지는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. 이 말의 의미는 다소 부끄러운 얘기지만 경제 뉴스에 관심을 가진지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. 저에게 경제뉴스는 단지 우리 회사의 상황이 어떤지 한 번 더 확인하는 루트에 불과했습니다. 그래서 남들과 비슷하게 취업했으니 돈도 있겠다... 즐기고 보자는 생각만 있었습니다. 휴가를 내서 해외여행을 가고 국내 여러군데를 놀러다니며 그렇게 신입사원 시절을 보냈습니다. 이때 회사동기들과도 좋은 추억을 많이 쌓은 것 같습니다. 하지만 경제뉴스에서 '한국의 미래'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후로는 이러한 생각이 사라지게 되.. 2024. 8. 28.